드라마 · 교양 · 예능 · 스포츠

SBS 앱에서 시청하세요

재생
272회 백세건강시대

백세 건강스페셜

방송일 2013.01.14 (월)
아내 같은 남편, 남편 같은 아내 - 남성 갱년기
 
 남자답고, 자신감 넘치던 아버지의 모습과는 다르게 점점 여성스러워지는 모습을 보게 될 때, 호르몬에 의한 단순한 변화 일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 단순한 호르몬의 변화가 남성갱년기일 수도 있다는 사실!
갱년기는 보통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남성들에게도 남성갱년기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이미 일어나는 증상들이 갱년기라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흔한데... 이제는 여성갱년기뿐만 아니라, 남성갱년기 또한 예방하는 데 힘을 써야 한다.

 남성갱년기(남성갱년기 증후군)은 여성갱년기 증후군에 대비하여 사용하는 말이다. 의학적 용어로는 후기발현 성선기능저하증, 즉 중년에 접어들면서 남성을 남자답게 만드는 호르몬인 남성호르몬이 부족하게 되어 생기는 건강상의 문제를 통칭하는 것이다. 여성 갱년기는 모든 여성이 50세쯤에 갑작스럽게 갱년기가 오고 안면홍조 증상이 있지만, 남성갱년기는 서서히 찾아오며 모든 남성이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남성갱년기는 의학적 관점에서 보면, 나이가 들면서 남성호르몬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것은 맞다. 그렇지만 남성갱년기 증후군을 일으킬 정도로 낮은 수치의 남성호르몬이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에 의한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외국의 연구에 의하면, 건강한 남성에서는 40세 이후에 남성호르몬은 1년에 불과 0.4% 정도의 감소만을 보인다. 그러나 비만이나 당뇨와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남성호르몬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스트레스 또한 남성호르몬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결국 나이가 들어가는 것, 그 자체와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과 만성질환과 같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남성호르몬 감소를 초래한다고 할 수 있다.

 남성호르몬이 부족하면 우리 몸 전체에 영향을 준다. 성 기능의 변화, 신체적인 변화, 정신 및 정서적인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성 기능과 관련해서는 성적인 행위를 하고 싶은 욕심 즉 성욕이 감소하고 발기의 빈도, 세기, 유지 시간이 감소한다. 신체적인 변화로는 근육, 뼈, 피부에 모두 영향을 주는데 근육의 크기나 세기가 줄어들고, 몸속 지방이 엉뚱한데 축적되는데 내장지방이 증가하고 주로 몸통의 지방이 증가한다. 이렇다 보니 나이가 증가하면서 배는 볼록 나오고, 허리도 두꺼운데 상대적으로 팔다리는 앙상해지는 신체 형태가 나타난다. 또한, 뼈가 물렁물렁해지고, 몸의 털이 빠지며 피부가 약해진다. 따라서 상처가 더디 낫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정신적 정서적인 문제로는 지적능력과 자신감이 떨어져 패기가 없어지고, 쉽게 피로와 우울함을 느끼며, 감정의 기복이 심해지고 수면장애가 있을 수 있다. 남성이 나이 들면서 어려지고 여성화된다는 항간의 말들이 실제로 맞으며, 그 중심에 남성호르몬의 불균형이 있을 수 있다.

 요즘 환자들은 적극적인 경우가 많아 병원을 찾는 분이 많이 	늘고 있다. 그렇지만 50~70대 남성 10명 중 3~5명이 남성 갱년기일 것으로 추정, 실제 진료 받는 수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병원을 찾지 않는 이유는 첫 번째는 사안이 매우 개인적이어서 거부감이 있을 수 있고, 두 번째는 나이 들면 그러려니 당연한 현상으로 여겨 무심하게 넘겨버리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갱년기는 여러 가지 신체적 ․ 정신적 약화과정을 통하여 우선은 환자 개인에게 어려움이 발생하지만, 파트너나 가족 더 나가서는 사회적인 노인 문제와도 맞닿아 있는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따라서 그냥 평범한 노화현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질병으로 보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별한 이유 없이 무력감이 오고 성욕이 떨어진다면 전문가를 적극적으로 찾는 것이 중요하다.
 

  백세건강스페셜에서는 중년 남성에게 찾아오는 남성갱년기의 진단과 치료법 및 남성호르몬에 도움이 되는 음식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출연자  	     중앙대 의과대 비뇨기과 명순철 교수
                   02-6299-1114
		     차 의과학대 가정의학과 김문종 교수
		     031-780-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