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 교양 · 예능 · 스포츠

SBS 앱에서 시청하세요

재생
560회 SBS 스페셜

난 독 시 대 - 책 한 번 읽어볼까

방송일 2019.07.21 (월)
난 독 시 대
#책 한 번 읽어볼까

방송일시: 2019년 7월 21일 일요일 밤 11시 5분
연출: 박진홍 / 글·구성: 이은정

*주요내용
1) 2019 국어 불수능, 사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을까? 
2019학년도 국어 수능시험은 사상 최악의 난이도를 기록했다. 상위 4퍼센트에 해당되는 1등급 커트라인이 84점. 수학이 4등급이어도 국어 1등급을 받아 의대에 진학했다는 소문에 충격을 받은 학부모들이 국어 사교육 시장으로 몰려들고 있다. 출제위원들은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음을 인정했으나 한편에는 학생들의 전반적인 독해력이 떨어진 것도 한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만15세 학생들을 대상으로 3년마다 치르는 국제학력비교평가(PISA)에서 한국은 읽기영역에서 2006년에 세계1위를 기록했는데, 이후 매회 순위가 하락해 2015년에는 4~9위에 머물렀다. 문제는 평균치가 높아 순위는 높아도 최하수준에 그친 학생이 전체의 32.9%에 이른다는 것이다. 1/3이 교과서를 이해할 수 없는 정도라는 것이다.

2) 스마트 폰 보는 뇌는 책 읽는 뇌와 다르다
인간의 유전적 특징은 책 읽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늘 주변을 살펴야 생존이 가능했기 때문에 산만한 것이 당연했는데 문자가 발명되고 책을 읽게 되면서부터야 한 군데 집중하고 깊은 사고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문명의 폭발적인 발전은 문자 발명 후 책읽기를 통해서 가능했는데, 문제는 책을 읽지 않게 되면 뇌가 움직이는 회로 자체의 변형이 생긴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 폰과 디지털 기기를 통해 유입되는 방대한 양의 정보는 하나하나 살피기보다는 훑어 읽을 수밖에 없고 이것이 뇌의 특정한 기능을 저하시키고 독해력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3) 책이라면 ‘학을 떼게’ 만드는 한국의 책 읽기 교육
독서량 조사에서 한국이 독특한 점은 평생 책을 가장 많이 읽는 때가 초등학교 저학년 때이고 나이가 들수록 독서량이 줄다가 사회생활을 하면서부터 다시는 회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책과 관련된 긍정적인 경험이 없어서다.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이 어릴 때는 책을 권하는데, 아이들은 책읽기가 좋아서라기보다 부모가 원해서 하는 숙제로 여기고 그나마도 초등학교 고학년만 돼도 부모들은 학교성적에 직접 도움이 안 되면 책읽기를 권하지 않는다. 학교에서는 개개인의 특성에 맞지 않는 권장도서나 고전을 읽게 하지만 읽기가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겐 고통일 뿐이다. 그런 기억은 성인이 되어서도 다시 책을 가까이 하지 못하게 만든다.   

4) 책과 다시 가까워 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
강원도 홍천여고는 함께 책 읽기로 유명한 학교다. 한 학교에 독서모임이 무려 83개, 전교생 590명 중 340명이 모임에 참여하고 있다. 중학교 때 책을 한 권도 안 읽고 스마트폰에 빠져 있던 학생들도 독서모임에 가입해 친구들과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연스럽게 책벌레가 된다. 책과 담 쌓은 사람도 책벌레로 만드는 ‘함께 읽기’를 포함, 책과 가까워질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5) ‘양손잡이 읽기’를 위하여 
 ‘다시 책으로’의 매리언 울프 박사, ‘책은 도끼다’의 박웅현 대표, ‘서민독서’의 서민 교수에게서 듣는 책 읽기의 행복과 책 읽기가 주는 선물. 디지털 시대에는 많은 정보들 가운데 어떤 것이 믿을 만하고 어떤 것을 선택할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런 한편, 전통적인 방식의 긴 글 읽기도 깊은 생각을 위해서는 절대 버릴 수 없다. 인공지능 시대, 인간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데 필요한 것은 ‘양손잡이 읽기’이다.



회차별보기

전체회차
선택된 컨텐츠 번호 6 전체 컨텐츠 갯수/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