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 교양 · 예능 · 스포츠

SBS 앱에서 시청하세요

재생
767회 그것이 알고싶다

그것이 알고 싶다

방송일 2010.08.28 (일)
강제병탄 100년 - 고종황제의 비자금은 어디로 갔는가
방송일시 : 2010년 8월 28일(토) 밤 11시 10분




헐버트 박사의 이루지 못한 소원, “한국정부가 내탕금을 찾아달라”

1949년 7월 29일. 파란 눈의 할아버지 한 분이 한 달간의 긴 뱃길 여정을 끝내고 인천항에  막 들어섰다. 당시 87세. 광복절을 앞두고 이승만 대통령의 초청을 받아 한반도에 다시 발들 디딘 그는, 고종황제의 외교고문이자 비밀특사였던 헐버트 박사였다. 조선의 자주독립을 누구보다 원하고 노력했던 그의 눈에는 해방된 조선을 마주하는 감격의 눈물이 흘러내렸다. 그리고, 한반도를 제2의 고향으로 여겼던 그는 인천항에 들어온 지 일주일 만에 세상을 떴고 평소 그의 염원대로 한국땅에 묻혔다. 

그런데,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했다는 그에게는 이루지 못한 소원이 두 가지가 있었는데 그 하나는 한반도의 통일이었고, 다른 하나가 바로 ‘내탕금’을 찾아오라는 고종황제의 소명을 받들지 못한 것이었다. ‘내탕금’은 도대체 무엇인가?

Homer B. Hulbert(1863~1949)
	우리 정부가 세운 최초의 근대식 교육기관인 육영공원의 교사로 1886년 최초로 내한. 최초의 한글교과서 [사민필지] 저술하고 한글의 위대성 세계에 소개. 서재필을 도와 [독립신문] 창간에 이바지. 한국YMCA 창립총회 의장. [한국사 The History of Korea], [대한제국멸망사 The Passing of Korea] 등 명저 저술. 1905년 고종황제 특사로 미국을 방문하여 을사늑약을 저지하기 위해 노력. 1906년 헤이그 특사로 임명되어 헤이그를 방문, 일제 침략을 규탄하는 등 독립운동사에 큰 획을 그음. 1907년 일제의 박해로 도미하여 서재필, 이승만 등과 함께 한국의 독립을 전 세계에 호소. ‘나는 웨스트민스터 사원보다 한국땅에 묻히길 원한다’는 평소 염원대로 한국 땅(마포 양화진)에 영면.


역사 미스터리 ‘고종황제의 내탕금’

1909년 10월. 고종은 그의 비밀특사인 헐버트에게 내탕금(일종의 왕의 비자금) 51만 마르크(재경부 추정 현재가치 250억원)를 중국 상하이의 독일계 덕화은행에 예치했으니 이를 찾아 미국으로 일단 옮긴후 이 돈을 후에 나라를 위해 요긴하게 써야한다고 하였다. 이에 헐버트는 상하이로 가 돈을 찾으려 했으나 이미 일본이 전액 인출해간 후였다. 

정말 일본은 고종황제의 내탕금을 불법으로 찾아간 것일까? 그렇다면 도대체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할 수 있었던 것일까? 일본으로 갔다면 그 돈의 행방은 어떻게 된 것일까?

여기에는 예치금의 존재를 눈치챈 당시 이토 히로부미를 비롯하여 일제가 조직적으로 관여한 흔적이 있다. 그리고 최근 명지대 정상수 교수에 따르면 고종의 비자금은 알려진 것 보다 더 많은 100만 마르크라는 사실이 적힌 독일 외교 문서를 발견했다고 한다. [그것이 알고싶다]는 고종황제의 예치금이 어떤 돈이었으며, 왜 독일은행에 맡겨진 것이며, 일본 제국주의는 어떻게 이 돈을 인출해 간 것인지, 남아있는 내탕금은 없는 것인지 역사의 시계바늘을 따라 추적에 나선다. 


강제병탄 100년, 내탕금을 찾는다는 것의 의미는?

8월 29일은 한일강제병탄 100년을 맞는 날이다. 우리가 고종황제의 내탕금을 찾아나선다는 것의 의미는 이미 병탄 이전부터 제국주의의 발톱아래 당할 수밖에 없었던 우리 황실의 아픔을 돌아보는 길일 것이며, 불법적이고 야만적인 일제의 행태를 고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식민지 초기 일제 군국주의의 이익에 일조하던 구한말 고위관료들의 참담한 행태를 고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헐버트 박사는 세상을 뜨기 1년전 이승만 대통령에게 편지 한통을 보냈다. 그 내용은 “도둑맞은 내탕금을 이자와 함께 꼭 돌려받아야 합니다”라는 것이었다. 헐버트 박사가 세상을 뜬지 2년 후인 1951년, 그의 변호사는 헐버트 박사가 가지고 있던 13종류의 내탕금 관련 서류 일체를 한국정부에 보냈다. 그러나 그뿐... 지금껏 우리정부는 내탕금 반환에 대한 구체적인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